미드저니 사용법 #이미지 비율설정
요즘 미드저니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없겠지?? ChatGPT의 등장으로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졌다. 그 뜨거운 관심에 나도 동참하기로 했고, 미드저니를 유료로 결제해서 사용하고 있
ai-office.tistory.com
지난 포스팅에서는 이미지 비율설정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다.
어떻게, 당신이 원하는 곳에 맞는 이미지를 적절하게 만들어서 잘 사용했는가?
오늘은 더 다양한 이미지를 뽑아내기 위한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다.
창의력을 보여줘, 미드저니
창작의 영역은 인간의 고유영역이라고 생각했지만,
사실 우리의 착각이 아니었나 싶다.
바둑만큼은 인간의 영역이라고, 인공지능이 넘볼 수 없다고 했지만
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결로 인공지능의 능력이 증명되었다.
미술과 음악과 같은 창작, 창의력과 감성적인 영역도 마찬가지로
인간의 영역이라고 인공지능이 할 수 없다고 믿었지만,
ChatGPT와 미드저니 등의 생성형 인공지능들이 나오며 인간의 영역이라는 말이 쏙 들어갔다.
그래서 나는 생성형 인공지능들에게 편승해 가기로 했고, 창의력 또한 미드저니에게 맡겼다.
미드저니는 우리가 작성한 프롬프트대로 이미지를 생성해준다.
하지만 그 프롬프트 안에서도 더 다양한 이미지를 뽑아낼 수 있다.
미드저니에게 창의력을 부여해주는 방법으로 나는 파라미터 '카오스'를 사용한다.
지난번 포스팅에서도 언급했지만 파라미터는 작성하는 프롬프트의 제일 마지막에 작성해주면 된다.
원하는 이미지를 생각해서 텍스트로 작성하고, 맨 마지막에 <--c>를 추가해주자.
그러면 조금 더 다양한 작품들을 만나 볼 수 있게 된다.
하지만 솔직하게 말하면 카오스를 사용하지 않아도
미드저니는 충분히 창의적인 이미지를 그려준다.
그래서 카오스를 적용했을 때 얼마나 큰 차이가 있는지를 명확하게 알기가 쉽지 않다..
창의력 만들어주기, --c
'카오스' 말그대로 혼돈이다.
혼돈이란 무질서 상태를 말하는데 미드저니에서 카오스를 입력하게 되면
일반적이지 않은 신박한 결과물들을 가져다주곤 한다.
카오스를 입력하지 않았을 때 미드저니로부터 얻는 4가지의 이미지,
그리고 리셋버튼을 눌러 또다시 얻게 되는 4가지 이미지는 이전 4가지와 비슷하다.
하지만 카오스를 입력하게 되면 리셋 버튼을 누를 때마다
더 새로운 이미지를 얻어낼 수 있게 된다.
우선 비교를 좀 해보자.
먼저 카오스 값을 낮게 설정한 결과물 부터 확인해보자.
--c 1로 설정하고 리셋을 세번 돌려 총 16가지의 이미지를 받아보겠다.
음 우선 스케이트 보드를 타는 모습으로 전부 통일되어 있다.
조금씩은 다르지만 느낌은 얼추 비슷한 것들로 만들어진 것 같다.
이번엔 카오스 수치를 조금 높여 --c 30 으로 설정해보자.
음.. 카오스가 조금 들어갔다고 약간 이미지들이 변형이 되어가는 것 같기는 하다.
하지만 이정도로는 큰 차이를 느끼기 어렵다.
카오스 수치를 --c 80으로 높여보자.
카오스가 낮을 때보다 뭔가 다양성은 생긴 것 같다.
주어진 4개의 이미지들이 모두 다른 느낌을 주는 것 같다.
이제 아예 --c 100으로 설정해보자.
카오스는 1~100까지 설정가능하니 마지막으로 최대치로 만들어보자.
음..?
카오스 80일때가 더 다양한 느낌인 것 같기도 하다...
리셋 버튼을 반복해서 누를수록 더 다양한 이미지를 얻어낼 수 있을 것 같긴하지만,
카오스의 수치가 아주 큰 영향을 주는 것 같지는 않다.
조금 더 다양한 이미지를 얻어내고 싶다면 카오스를 활용해보자.
반대로 계속 비슷한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싶다면,
카오스를 1 정도로 낮게 설정하는 것도 방법이다.
오늘도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어가시길 바라며 이만..
오늘의 프롬프트 공개
/imagine prompt:meerkat, our protagonist, a gentle and delicate image of a meerkat always wearing sunglasses and a yellow outer garment. The meerkat is the main character in every scene.::3 Our protagonist glides effortlessly on a skateboard, their paws expertly maneuvering the board. With a confident stance, they carve smooth lines along the pavement, their tail acting as a counterbalance. The wind tousles their fur as they perform tricks, leaping into the air and landing with grace. Their eyes reflect a sense of freedom and exhilaration, capturing the essence of skateboarding.::3
'인공지능 활용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드저니 사용법 :: 고흐처럼 그림 그리는 방법 (0) | 2023.06.02 |
---|---|
미드저니 사용법 #퀄리티 높이기 (0) | 2023.05.30 |
미드저니 사용법 #이미지 비율설정 (1) | 2023.05.27 |
인공지능으로 부수입 만들기 프로젝트 (0) | 2023.05.17 |
미드저니 요금제, 무료부터 유료까지 (0) | 2023.05.16 |